Leave Your Message
최신 뉴스: IL-4는 CD8+ CART 세포의 고갈을 유발합니다.

소식

뉴스 카테고리
주요 뉴스
추천 서비스
빠른 링크

최신 뉴스: IL-4는 CD8+ CART 세포의 고갈을 유발합니다.

2025년 1월 16일
2024년 9월 12일, Carli M. Stewart 등은 Nature Communications에 IL-4가 CD8+CART 세포의 소진을 유도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이 연구는 주로 CAR-T 세포 치료에 사용됩니다. CAR-T 세포 기능 상실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혈액암 치료 성공률은 높지만 치료 기간이 짧고 대부분의 환자가 1년 이내에 재발합니다. 세포 소진은 CAR-T 세포 기능 상실의 주요 원인으로, CD8+T 세포의 T 세포 수용체(TCR) 또는 CAR-T 세포의 CAR을 통한 만성 자극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표현형적으로는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 단백질 1(PD-1), T 세포 면역글로불린 및 점액 도메인 단백질 3(TIM-3), 세포독성 T 림프구 관련 단백질 4(CTLA-4), 림프구 활성화 유전자 3(LAG-3)과 같은 다양한 억제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킵니다. 기능적으로는 세포 증식을 늦추고, 효과기 세포의 용량을 감소시키며, 대사 변화를 유발합니다. 유전자 공학적 최적화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었지만, 그 기전과 잠재적 치료 표적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CD28 Co 자극은 CAR-T 세포 파괴를 유발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연구진은 CD28 Co 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CD19 항원을 표적으로 하는 세포 모델을 주로 연구하여 IL-4가 CAR-T 세포 파괴의 핵심 조절 인자임을 확인했습니다. 이후, IL-4 중화는 생체 내 및 시험관 내 검증을 통해 CAR-T 세포의 항종양 활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으로 제시되었습니다. IL-4 mAb와 CAR-T 세포 치료의 병용은 T 세포 고갈을 줄이고 항종양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소개소개

CAR-T 세포 치료

CAR-T 세포 치료(키메라 항원 수용체 T 세포 치료)는 자신의 T 세포를 유전적으로 조작하여 백혈병과 림프종과 같은 특정 유형의 암을 치료하는 면역 요법입니다. 혈액에서 면역 관련 T 세포를 채취하여 유전자 조작을 통해 표면에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를 발현하도록 합니다. CAR은 항원 인식 도메인(암세포 표면의 항원을 인식할 수 있는 영역)과 신호 전달 도메인(T 세포가 표적에 결합할 때 T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영역)의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CAR-T 세포 치료는 정상 세포의 손상을 줄이기 위한 정밀 표적 치료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CAR-T 세포 치료
그림 1: CAR-T 세포 치료. (그림 출처:CAR T 세포 치료: 암 면역 치료의 새로운 시대.)

CD28

CD28은 T 세포에서 발현될 수 있으며 T 세포 활성화 및 생존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CD28은 인간 CD8+ T 세포의 약 50%, CD4+ T 세포의 80% 이상에서 발현됩니다. CD28은 CTLA4와 매우 상동성이 높으며 CD80 및 CD86 항체와 경쟁하기 때문에 약물 표적이 될 수 있습니다. 항-CD28에 결합하면 IL-2와 IL-4가 방출될 수 있습니다.우리는 CD28 타겟과 관련된 제품을 제공합니다:
카탈로그 번호 제품명 크기
ALP64650 ALP64650-재조합 인간 CD28 단백질, Fc 태그 50ug, 100ug, 500ug
알피64644 ALP64644-재조합 마우스 CD28 단백질, Fc 태그, His 태그 50ug, 100ug, 500ug
ALP64560 ALP64560-재조합 인간 CD28 단백질, mFc 태그 50ug, 100ug, 500ug
ALP64537 ALP64537-재조합 인간 CD28 단백질, His 태그 50ug, 100ug, 500ug
ALP64506 ALP64506-재조합 인간 비오틴화 CD28 단백질, Fc 태그, Avi 태그 50ug, 100ug, 500ug
ADT1043 ADT1043-항-CD28 바이오시밀러-항-CD28(Tp44) mAb-연구용 등급 1mg, 5mg
ADT1374 ADT1374-Lulizumab 바이오시밀러-항-CD28 mAb – 연구 등급 1mg, 5mg

IL-4

인터루킨 4(IL-4)는 B세포 분화, B세포 및 T세포 증식을 자극하는 사이토카인으로, 면역 반응에서 면역 조절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염증을 감소시키고 상처 치유를 촉진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IL-4는 횡문근육종의 유사분열, 역분화 및 전이를 촉진할 수도 있습니다. IL-4 관련 질환으로는 알레르기 질환(천식 또는 알레르기 반응), 종양 성장 촉진(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등), 신경계 질환, HIV 감염 등이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질환에서는 IL-4 수치가 변화합니다.

관련 기술기술

크리스퍼 카스9

CRISPR Cas9는 규칙적으로 간격을 둔 짧은 팔린드롬 반복 서열(CRISPR)을 의미하며, Cas9 뉴클레아제를 위한 RNA 세그먼트에 의해 유도되는 효율적인 유전자 편집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주로 두 가지 기본 구성 요소로 구성됩니다. 표적 DNA와 일치하는 가이드 RNA와 두 가닥의 DNA를 절단할 수 있는 뉴클레아제인 Cas9(CRISPR 관련 단백질 9)입니다. 가이드 RNA와 Cas9의 조합은 합성 단방향 가이드 RNA(sgRNA)라고 하는 단일 가닥을 형성합니다. 프로토스페이서 인접 모티프(PAM)는 가이드 RNA의 3' 말단에 위치하여 절단이 용이합니다. 절단 후, 두 가지 DNA 복구 경로(비상동 말단 연결, 일반적으로 DNA 손상으로 이어짐)가 선택됩니다. 무작위 삽입/삭제, 또는 상동성 DNA 단편을 복구 주형으로 사용하는 상동 지향 복구는 CRISPR/Cas9 복구에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CRISPR/Cas9는 낭포성 섬유증(CF)과 같은 단일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유전 질환 및 HIV와 같은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치료 과정에서 CRISPR/Cas9의 몹 효과(mop effect)와 표적 전달 방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크리스퍼 카스9
그림 2: CRISPR/Cas9 시스템. (그림 출처:CRISPR/Cas9란 무엇인가요?)

RNA 시퀀싱

RNA 시퀀싱(RNA Seq)은 생물학적 샘플 내 RNA의 존재 및 양을 파악하고 RNA의 종류(총 RNA, miRNA와 같은 소형 RNA, tRNA, 리보솜 RNA)를 분석할 수 있는 차세대 시퀀싱 방법입니다. 시퀀싱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라이브러리 준비: RNA 분리, 조직으로부터의 분리 및 추출, RNA에 DNA 효소를 첨가하여 조직의 원래 DNA를 환원, RNA를 cDNA로 역전사, 효소, 초음파 처리 및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cDNA를 단편화, 그리고 시퀀싱 분석 정량화. 복합 DNA 시퀀싱(cDNA Seq), 소형 RNA/비번역 RNA 시퀀싱, 직접 RNA 시퀀싱, 단일 분자 실시간 RNA 시퀀싱, 단일 세포 RNA 시퀀싱(scRNA Seq) 등과 같은 시퀀싱 유형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RNA 시퀀싱RNA 서열
그림 3: 일반적인 RNA-Seq 실험 워크플로. (그림 출처:RNA 시퀀싱을 위한 정보학: 클라우드에서 분석을 위한 웹 리소스.)

유세포분석

유세포 분석은 세포 표면의 광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세포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정제합니다. 세포 크기, 형태, 단백질 발현 등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세포를 검출하는 수집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이후 세포 배양, 운영, 연구 및 기타 실험을 위해 세포 분류 및 회수를 위해 액적 분류 기술을 사용합니다.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료를 시스 유체 흐름에 주입하면 진동 노즐을 통해 세포가 이동하면서 개별 세포가 포함된 액적이 생성됩니다. 분리 위치에 대전된 링을 배치하고, 액적에 반대 전하를 포집하여 대전된 액적을 형성합니다. 대전된 액적은 정전 편향 시스템에 떨어져 용기로 옮겨집니다. 액적 분리 후, 액적 흐름은 중성으로 돌아갑니다. 유세포 분석은 세포 분류, 세포 계수, 세포 특성 및 기능 분석, 바이오마커 검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세포 유세포 분석
그림 4: 유세포 분석법과 물방울 기술을 이용한 세포 분류. (그림 출처:Equus caballus IgE와 고친화도 FcεRI 수용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시험관 내 모델 시스템 개발(박사학위 논문))

참조참조

[1] Stewart, CM, Siegler, EL, Sakemura, RL 외. IL-4는 CD8+ CART 세포의 고갈을 유도한다. Nat Commun 15, 7921 (2024). https://doi.org/10.1038/s41467-024-51978-3
[2] Androulla N. Miliotou, Lefkothea C. Papadopoulou, CAR T 세포 치료: 암 면역 치료의 새로운 시대, Current Pharmaceutical Biotechnology; 제19권, 제1호, 2018년, . DOI: 10.2174/1389201019666180418095526
[3] Ran, F., Hsu, P., Wright, J. et al. CRISPR-Cas9 시스템을 사용한 게놈 엔지니어링. Nat Protoc 8, 2281–2308(2013).
[4] https://doi.org/10.1038/nprot.2013.143
[5] Redman M, King A, Watson C, King D. CRISPR/Cas9란 무엇인가? Arch Dis Child Educ Pract Ed. 2016년 8월;101(4):213-5. doi: 10.1136/archdischild-2016-310459. Epub 2016년 4월 8일. PMID: 27059283; PMCID: PMC4975809.
[6] https://en.wikipedia.org/wiki/RNA-Seq
[7] Malachi Griffith, Jason R. Walker, Nicholas C. Spies, Benjamin J. Ainscough, Obi L. Griffith - http://journals.plos.org/ploscompbiol/article?id=10.1371/journal.pcbi.1004393, CC BY 2.5,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53055894
[8] Equus caballus IgE와 고친화도 FcεRI 수용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시험관 내 모델 시스템 개발(박사학위 논문), 셰필드 대학교, CC BY-SA 3.0,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8139883